프론트 개발자를 위한 여정

모든 영역을 안내하는 개발자

Frontend 62

HTTP 통신과 웹소켓(WebSocket)의 차이 / REST API를 웹 소켓으로 구현했을 때

HTTP 통신프로토콜 특징클라이언트-서버 간 요청/응답(Request/Response) 기반.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야 서버가 응답을 반환.단방향 통신(One-way) 구조.장점REST API와 잘 어울림: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활용해 명확한 리소스 제어 가능.표준화: 대부분의 브라우저와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지원.캐싱 가능: HTTP 헤더를 통해 캐싱을 관리할 수 있어 성능 최적화가 용이.보안: HTTPS를 통해 SSL/TLS 암호화를 쉽게 구현.단점실시간 통신에는 비효율적: 클라이언트가 정기적으로 요청(Polling)하거나, 서버 푸시(SSE)와 같은 우회 방식이 필요.오버헤드: 요청마다 헤더와 데이터를 전송, 추가적인 트래픽 발생.웹소켓(WebSocket)프..

Frontend 2024.11.26

JS 배열 구조 분해 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

구조 분해 할당 구문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JavaScript 표현식입니다.  1. 배열 디스트럭처링을 이용한 값 교환 방식**배열 디스트럭처링(Destructuring Assignment)**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이나 객체의 값을 손쉽게 추출하고 변수에 할당하는 문법입니다. 배열 디스트럭처링을 사용하면 두 값의 위치를 교환(swap)하는 작업을 한 줄로 간결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배열 디스트럭처링을 이용한 값 교환배열 디스트럭처링을 사용하면 두 값의 자리를 바꾸는 스와핑 작업을 매우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배열 요소를 교환하려면 다음과 같은 구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players[index], players[index-..

Frontend/JavaScript 2024.11.23

CSS 서브그리드(Subgrid): 현대적인 레이아웃 설계의 새로운 가능성

CSS 서브그리드(Subgrid): 현대적인 레이아웃 설계의 새로운 가능성웹 개발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작업은 언제나 중요한 도전 과제였습니다. CSS Grid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았지만, Grid 내부의 하위 요소가 부모 Grid의 간격과 정렬을 따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능이 바로 **서브그리드(Subgrid)**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SS 서브그리드가 무엇인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지, 그리고 실제 사용 사례를 소개합니다.1. CSS 서브그리드란?CSS 서브그리드는 부모 Grid의 레이아웃 설정(행 또는 열)을 하위 요소들이 그대로 따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즉, 하위 Grid 컨테이너가 독립적인 레이아웃을 갖는 대..

Frontend/CSS 2024.11.18

더 깔끔하고 읽기 쉬운 스타일링: CSS 네스팅(Nesting)

CSS를 작성할 때 우리는 계층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클래스나 선택자를 중첩하여 사용합니다.하지만, 기존 CSS에서는 이를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웠습니다.CSS 네스팅(Nesting)은 하위 선택자 스타일을 부모 안에 중첩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CSS의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크게 향상시킵니다.CSS 네스팅은 Sass, Less와 같은 전처리기에서 제공하던 기능을 네이티브 CSS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왜 CSS 네스팅이 필요한가요?기존 CSS에서는 하위 선택자를 작성할 때 부모 선택자를 반복해야 했습니다.기존 방식.navbar { background-color: #333;}.navbar .menu { display: flex;}.navbar .menu .menu-item..

Frontend/CSS 2024.11.17

CSS 컨테이너 쿼리(Container Queries): 반응형 디자인의 새로운 도구

반응형 웹 디자인을 구현할 때 우리는 보통 미디어 쿼리(Media Queries)를 사용합니다.하지만 미디어 쿼리는 화면 크기를 기준으로 스타일을 변경하기 때문에 컴포넌트 중심의 디자인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도구가 바로 CSS 컨테이너 쿼리(Container Queries)입니다.컨테이너 쿼리는 특정 컨테이너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어컴포넌트 단위의 반응형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왜 컨테이너 쿼리가 필요한가요?기존의 미디어 쿼리는 화면 전체의 크기만 고려하므로, 같은 컴포넌트가 다양한 컨텍스트(사이드바, 메인 콘텐츠 등)에서 다른 크기로 나타나야 하는 상황에 적합하지 않습니다.예를 들어, 카드 컴포넌트가 부모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레이아웃을 ..

Frontend/CSS 2024.11.16

다양한 CSS 스타일이 충돌할 때, 우선순위는 어떻게 결정될까?

1. 우선순위 점수 계산 방법인라인 스타일 (예: )점수: 1000인라인 스타일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인라인 선택자 css아이디 선택자 (#id)점수: 100아이디 선택자는 강력한 우선순위를 가지며, 클래스나 태그 선택자보다 높습니다.아이디 스타일 css클래스, 속성, 의사 클래스 선택자 (.class, [type="text"], :hover)점수: 10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선택자들로, 태그 선택자보다는 높지만 아이디 선택자보다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클래스 선택자 css태그, 의사 요소 선택자 (div, p, ::before, ::after)점수: 1태그 선택자와 의사 요소 선택자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태그 선택자 css전체 선택자, 결합자 (*, +, >, ~, )점수: ..

Frontend/CSS 2024.11.15

React에서 React.Fragment를 사용하는 이유

React 컴포넌트를 작성하다 보면 JSX에서 최상위 요소를 하나만 리턴해야 하는 규칙을 마주하게 됩니다.이 규칙은 React의 가상 DOM과 연관이 있으며, 효율적인 렌더링과 성능 최적화를 위해 중요합니다.이 글에서는 React.Fragment와 그 축약형인 빈 태그 ( )를 사용하는 이유와 동작 방식을 설명합니다.React에서 최상위 요소 하나만 리턴하는 이유React는 가상 DOM (Virtual DOM)을 사용하여 렌더링 성능을 최적화합니다.컴포넌트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React는 가상 DOM에서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최소한의 변경만 실제 DOM에 반영합니다.이를 Reconciliation (조정) 과정이라고 부르며, React의 핵심 동작 방식 중 하나입니다.이때 가상 DOM을 효율적으로 비교..

Frontend/React 2024.11.14

[troubleshooting] pnpm version mismatch

문제이 오류는 현재 프로젝트가 특정 pnpm 버전(8버전)을 요구하는데, 사용 중인 pnpm 버전(9.9.0)이 그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오류 메시지에서 보면:필요한 pnpm 버전: 8현재 설치된 pnpm 버전: 9.9.0프로젝트의 package.json 파일 내에 engines.pnpm 필드가 있어, 이 프로젝트는 pnpm 버전 8만 지원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해결 방법1. pnpm의 특정 버전 설치 pnpm 버전 8을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로 pnpm의 버전을 8로 지정하여 설치하세요:npm install -g pnpm@8  2. 프로젝트의 engines 설정 수정 만약 프로젝트 팀이 pnpm 9 버전을 사용할 준비가 된 상태라면, 프로젝트의 p..

Frontend/React 2024.11.14

Javascript 비동기 프로그래밍, 클로저와 스코프, 모듈화, ES6

JavaScript 심화 개념 정리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에서 중요한 심화 개념들을 다룹니다. 비동기 프로그래밍, 클로저와 스코프, 모듈화, 최신 문법(ES6+)을 포함한 각 개념을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1. 비동기 프로그래밍JavaScript는 기본적으로 싱글 스레드로 동작하며, 이로 인해 비동기 프로그래밍이 필요합니다. 콜백, 프로미스(Promises), async/await을 활용해 비동기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1.1 콜백콜백 함수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하지만 중첩된 콜백을 사용할 경우 콜백 지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function fetchData(callback) { setTimeout(() => { callback..

Frontend/JavaScript 2024.11.13

React의 렌더링 구조와 최적화

React의 렌더링 구조와 최적화 React의 렌더링 흐름과 성능 최적화 기법을 살펴보고, 코드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React의 렌더링 원리 React는 컴포넌트 기반 라이브러리로, 데이터가 변경되면 화면을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는 Virtual DOM 구조를 사용합니다. Virtual DOM Virtual DOM은 React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실제 DOM에 접근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식입니다. React는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직접 DOM을 업데이트하지 않고 메모리 내의 가상 DOM을 먼저 업데이트합니다. 이후 실제 DOM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변경된 부분만 반영하는 방식으로 최적화합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연산과 DOM 조작..

Frontend/React 2024.11.12